반응형

연말정산 5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단점 & 종류) - 1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단점 & 종류) -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해당 펀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지원해주는 정부 지원 혜택입니다. (올해 6월 출시될 청년도약계좌와는 별도입니다.) - 신청기간 - 22.1.1 ~ 23.12.31 - 신청자격 - 1. 만 19세 ~ 만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를 한 사람이라면 최대 6년 까지 인정 가능) 2. 연간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 3.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 4. 직전 3개연도 동안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신청 불가 - 계약기간 - 3년 이상 ~ 5년 이하 (의무 유지기간 3년 - 이전에 해지 시 추징 세액 부과..

연말정산 세액공제 - 연금저축 ETF 상품 (SOL 미국 S&P500)

연말정산 - 연금저축 ETF 상품 (SOL 미국 S&P500)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시 도움이 되는 연금저축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정확히는 연금저축 상품 중 SOL 미국 S&P 500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합니다. 왜냐고요? 저는 이 종목이 좋아보이기에 여러분들께 알려주고 싶어서 글을 작성하는 겁니다. 그리고 2023년에 연말정산을 해서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12월 30일까지는 입금을 해놓으셔야 할겁니다. 미리 확인해보시고 결정해보세요. 참고로 연말정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연말정산 - 1. 주택자금 공제 (주택담보대출 / 보증금 대출 / 월세 / 청약 저축) 연말정산 - 환급금 많이 받는 방법, 환급금 조회, 계산법 오늘은 부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이 바로 세테크 입..

연말정산 - 3. 신용카드 & 체크카드 소득공제

연말정산 - 3. 신용카드 & 체크카드 소득공제 카드 및 현금연수증의 사용금액에 대해서 공제하는 내역의 대부분은 연말정산 간소화 pdf자료에 다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하는 건 별로 없지만 1년동안 돈을 사용할 때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그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신용카드는 혜택을 위한 용도이므로 딱 필요한 금액만 사용하자. >> 혜택 유지 금액만큼만 사용 >> 총 급여액의 25%만큼만 사용 (공제 기준 금액) 2. 나머지 금액은 전부 현금영수증 & 체크카드로 사용하자. >> 30% 공제를 받아야한다. 여러분들도 읽어보시고 본인만의 전략을 만들어 보세요. 위의 전략은 저의 전략입니다...ㅎㅎ 연말정산 FLOW 신용카드 & 체크카드의 공제는 소득공제입니다. 소득공제는 보통 고소득자에게 좋은..

연말정산 - 2. 연금계좌 세액공제

연말정산 - 2. 연금계좌 세액공제 오늘은 세태크의 두번째 챕터입니다. 두번째는 연금계좌입니다. 연금계좌는 2013년 세법개정에 따라 도입된 연금계좌로 일정기간 이후 연금으로 인출할 경우 일반소득세율(15.4$)보다 낮은 연금소득세율(3.3~5.5%)로 과세되는 세제혜택 상품입니다. 2023년부터 변경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나이와 소득에 관계없이 연금계좌에 넣은 돈 중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라면 15%, 초과라면 12%를 받습니다. 연말정산 FLOW 연금계좌 종류 및 한도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신택(은행) / 연금저축펀드(증권사) / 연금저축보험(생명, 손해보험사) / ISA(개인종합자산관리) 퇴직연금계좌 회사에서 납입해주는 퇴직연금..

연말정산 - 1. 주택자금 공제 (주택담보대출 / 보증금 대출 / 월세 / 청약 저축)

연말정산 - 환급금 많이 받는 방법, 환급금 조회, 계산법 오늘은 부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이 바로 세테크 입니다. 우리가 냈던 세금을 합법적으로 돌려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누군가는 '사소한 이 금액이 신경쓰는게 중요한것이냐' 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소한 금액이 정말로 큰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이 연말정산으로 13월의 월급을 받을테니깐요. 저도 20년도엔 50만원 정도 받았을땐 기분이 좋았다가 21년도에 5만원을 돌려줬는데 뭔가 아깝더라고요. 여러분은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을 통해 모두들 환급을 많이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이와 같습니다. 1. 저축 & 임차자금 차입금 상환 → 연 300만원 공제 2. 월세액 세액공제 → 연 75 ~ 90만원 공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