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수입

QYLD ETF - 배당, 배당일, 주가

Copycat_millionaire 2022. 11. 2. 22:02
반응형

QYLD ETF, 분배금, 상품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글과 동일하지만 다른 종목으로 수동수입과 관련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여기서 수동수입이란 내가 내 시간을 들여서 일하지 않더라고 꾸준한 수입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저는 그중에서 제 돈을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 중 한 가지 중에 두 번째 종목을 보여드릴려고 합니다.

 

간단한 설명을 덧붙여서 말씀드리겠습니다.

 

Q1. QYLD ETF란(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 QYLD ETF(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ETF 운용 자회사입니다.
  • 이 회사의 운용자산은 300억 USD 정도입니다.
  • 이 종목은 나스닥 100종목에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합니다. 단 이 전략으로 인해 나스닥 지수가 크게 상승하여도 QYLD 주가는 크게 상승하지 못합니다.
  • 상장일 : 2013.12.12
  • 배당률 : 12~14%
  • 운용 수수료 : 0.6%
  • 운용방식 : 커버드콜
  • 포트폴리오 : 주식 99%
  • TOP HOLDING : Apple INC 13.6%, MICROSOFT CORP 10.71%, AMAZON. COM INC 7.13%, TESLA INC 4.31%, ALPHABET INC-C 3.67%, ALPHABET INC CL-A 3.54%, META PLATFORMS INC 2.76%, NVIDIA CORP 2.68%, PEPSICO INC 2.17%, COSTCO WHOLESALE CORP 2.06%, etc.. 

Q2. 주가 데이터

  • 첫 상장 후 현재까지 42% 정도의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 그리고 1년마다 약 1.8~2% 정도의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11% 분배금을 기준으로 1년에 2% 주가가 하락한다면 실제 우리가 투자해서 받는 수익률은 약 8~9% 정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단 QYLD는 주가가 올라갈 수 있는 상방은 커버드콜 전략에 의해 막혀있고 하방은 지지선이 없이 뚫려있기 때문에 하락장에는 주가가 많이 내 수 있습니다. 이는 팬데믹 시기 주가 변화를 보면 됩니다.
  • 팬데믹 시기 기준 이전 $24였던 주가가 최저점인 $17까지 갔었지만 이후 찾아온 상승장에서는 기존 주가까지도 올라가지 못했습니다. 이런 경향은 배당금은 좋지만 투자자를 답답하게 만듭니다. (2020년 1월 $23.51 ~ 12월 $22.80였습니다)
  • 아래의 차트를 보시면 2013년부터 2022년도까지의 주가가 등락을 반복하지만 계속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QYLD 주가

Q3. 판단

  • 배당률을 기준으로 본다면 QYLD가 JEPI보다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내가 매수한 원금이 계속 내려가면서 분배금을 받는다면 최종적으로는 내 돈에서 분배금을 받는 것과 동일해질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이 주식의 배당금과 다르게 JEPI, QYLD에서 분배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내 투자 원금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ROC(Return of Capital)라고 하는데 이것이 과할 경우 안정적인 배당이 어렵습니다.
  • 실제로 QYLD의 경우 배당금의 원천은 투자수익 $0.06, ROC $2.39이므로 투자원금이 대부분입니다. 즉 그냥 은행에 내 돈을 넣어놓고 매월 일정 금액 받는 것과 다를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투자하고 있지 않는 종목입니다. 다만 분배금이 높다보니 한번 보여드리기 위해서 정리하였습니다.
  • 너무 높은 수익률을 가지고 있으면 투자전에 꼭 확인해보기실 바랍니다.

해당 글은 투자를 강요 및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KBWY ETF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세요~

2022.11.01 - [수동수입] - 1. 분배금 - KBWY ETF

 

반응형